캐나다 런던 생활비
|
캐나다에 오기전에 궁금한 것 중의 하나가 과연 이곳에서의 생활비가 어느 정도 일까하는 점이었다. 돈 걱정 없는 집안을 제외하면 대부분 가구의 주요 관심사가 아닐까 싶다.
결론부터 애기하면 4인가족(부부+자녀2) 기준 캐나다 런던에서의 개인적 경험에 기초한 한달 기초 생활비는 대략 1인당 $1,000불 정도. 생활비는 거주지역, 가족구성 및 인원수에 따라 편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개인의 소비취향에 따라 생활비의 차이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위의 생활비는 개인적 생활비 평균이며, 개인별 처한 상황에 따라 차이가 많을 수 있다. 캐나다 런던은 인구 35만 정도의 중소도시로 밴쿠버나 토론토 같은 대도시보다 생활비가 다소 적게 든다고 볼 수 있다. 아래의 생활비 구성항목은 캐나다 런던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타 도시와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Sales Tax
한국의 부가세에 해당하는 캐나다 소비세는 Province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13% 수준이다. 토론토, 런던이 소재한 Ontario Province의 소비세도 13%다. 아래 표는 Province 및 Territory 별 소비세다.
Tax by province | ||||
Province | PST | GST | HST | Total sales tax |
Alberta | - | 5 | - | 5 |
British Columbia | 7 | 5 | - | 12 |
Manitoba | 8 | 5 | - | 13 |
New Brunswick | - | - | 13 | 13 |
Newfoundland and Labrador | - | - | 13 | 13 |
Northwest Territories | - | 5 | - | 5 |
Nova Scotia | - | - | 13 | 15 |
Nunavut | - | 5 | - | 5 |
Ontario | - | - | 13 | 13 |
Prince Edward Island | - | - | 13 | 14 |
Quebec | 9.975 | 5 | - | 14.975 |
Saskatchewan | 5 | 5 | - | 10 |
Yukon | - | 5 | - | 5 |
PST (Provincial Sale Tax) - 지방정부에 귀속되는 소비세
GST (Government Sales Tax) - 중앙연방정부에 귀속되는 소비세
HST (Harmonized Sales Tax) - PST와 GST를 폐지하고 단일세제로 통합.
캐나다에서 구입하는 모든 물품의 가격표는 Tax 미포함 가격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물건을 살때는 항상 물건가격의 13% 추가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신선식품류의 경우 소비세가 면제된다)
- House Rental
부동산전문가들은 주택유형을 다소 복잡하게 구분하는 경우도 많지만, 개인적으로 캐나다 주거형태를 단순하게 단독주택, 타운타우스, 아파트로 구분한다. 4인가족이 거주할 수 주택유형별 월임대료는 단독주택 $1,600 이상, Townhouse $1,000-$1,500, 아파트 $700-$1,200 수준이다. 임대료는 지역, 노후정도, 관리상태 등에 따라 차별적인 가격이 적용된다.
- Utilities (전기, 수도, 가스 등)
유틸리티 비용은 주택유형에 따라, 냉난방 방식 및 사용정도에 따라 가구별 편차가 심하다. $150-250 정도
- CAR Insurance
자동차보험은 보유차량 종류 및 연식에 따라 보험료 편차가 크며, 보험사별로도 차이가 많다. 문제는 한국에서의 운전경력을 인정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 보험서류상의 운전경력이 1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경우도 많아 자동차 보험료 부담이 크다. 중고차 기준 월$200-$300 수준.
- TV & Internet.
Bell 또는 Rogers를 주로 이용하며 상품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형으로 할 경우 월$80-$100. 초기 프로모션 가격으로는 괜찮은 가격으로 생각되지만 프로모션 기간종료 후 정상가격으로 환원되면 비싸게 느껴진다.
- Mobile phone
Bell 또는 Rogers 등 거대기업과 Fido, Koodo, Wind 등 중소형 사업자들을 통해 가입할 수 있고, 가격은 PLAN이라 칭하는 서비스 종류별로 가격차가 크다. PLAN종류에 따라 꽁짜폰으로 구입할 수도 있다. 기기값은 별도로 하고 PLAN별 금액은 월 $30-80$ 수준.
- Health Insurance
개인별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영주권자 신분이 아니라서, 개인적으로 4인가족 기준 월 $150 정도를 보험료로 지불하고 있다.
- 자동차 연료비
개인적으로 월 평균 $400 정도가 지출된다. 장거리 주행도 별로 없이 필요한 시내 주행만 하는 기준으로 그렇다. 휘발류 값은 매일 변경된 가격이 표시된다. 아침과 오후가 다른 경우도 있다. 87옥탄가를 기준으로 리터당 $1.2-1.4 수준. 국제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국에 비하면 싼 편이지만 땅덩어리가 넓어 주행거리가 많을 수 있다.
- 생활용품, 식료품, 문화생활비
House Rental 에서 자동차 연료비 까지의 비용은 줄이고 싶어도 줄이기 힘든 고정성 비용이다. 실제 월 생활비 규모는 나머지 생활용품비, 식료품비, 문화생활비 등에서 결정된다. 담배애연가는 한갑에 $8-16하는 담배를 구입하는 것이 장난아니게 부담된다.
- 예비비
월 생활비에 포함시키기에는 다소 비정기적이긴 하지만 예비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비용 (자동차수리비 등)도 고려하면 월생활비는 뜻하지 않게 높아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위의 개략적인 생활비용은 캐나다 랜딩초기의 제반 교통비, 자동차구입비, 집기, 가구 등의 구입비용은 제외된 것이다. 또한 학생신분인 경우 학비등을 포함시키면 지출비용이 만만치 않다.